〈다우렌의 결혼〉리뷰: 망명한 한국인이 아니라 고려인입니다
* 관객기자단 [인디즈] 이수영님의 글입니다.
“그럼, 신부는 어디서 구하라고요?”
다큐멘터리를 찍으러 카자흐스탄으로 떠난 승주와 촬영 스태프들. 먼 길을 달려 말조차 통하지 않는 낯선 땅에 도착했건만, 일은 산으로만 흘러간다. 갑자기 다리를 다쳐 촬영에 참여할 수 없는 메인 PD, 먹고 마시는 것에 빠져 촬영은 뒷전처럼 보이는 동료. 모든 것이 총체적 난국인 가운데, 현지 코디네이터 게오르기는 다 잘될 거라며 웃음만 보인다. 승주는 속이 탄다. 이번 영화를 잘 찍어야지만 입봉할 수 있는데. 초조한 그의 마음과 달리 카자흐스탄의 너른 들판은 평온하다.
〈다우렌의 결혼〉은 카자흐스탄으로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러 간 제작진들이 갑작스러운 상황 변화를 마주하며 억지로 결혼식을 연출하게 된 이야기를 담아낸다. ‘무엇을 위해 다큐멘터리는 존재하는가’와 같은 영상 윤리 관련 질문부터 카자흐스탄 고려인 공동체와 한국 간 불편한 위계질서까지. 이전까지 자주 그려지지 않던 카자흐스탄의 이국적이고 아름다운 정취와, 그사이 익숙한 이주승 배우의 얼굴이 어우러져 슴슴한 국시 같던 이야기는 불편한 질문들의 교집합으로 전환된다.
고려인과 관련한 기존 영화들이 민족주의적 접근과 함께 그들을 연민하거나 호기심의 대상으로 그려낸 데 비해, 〈다우렌의 결혼〉은 더욱 현실적인 시선을 담아낸다. 극 중 신부 역할을 맡게 된 아디나는 한 때 양궁 선수를 꿈꾸며 카자흐스탄 내 가장 대도시로 유학을 간다. 그는 대단한 유망주로 그려지지만, 갑작스런 어머니의 병환으로 고향으로 내려오며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게 된다. 방 안 가득 붙어있는 한국 사진들, 크게 붙어있는 광안대교를 보며 관객은 자연스레 승주와 비슷한 시선을 공유한다. ‘불쌍한 아디나’ 자신의 꿈을 펼치지 못하고, 부모에게 ‘매여’, 카자흐스탄이라는 ‘후진국’에 머무르게 되다니. 그리고 승주는 얘기한다. “아디나, 당신은 여기 있을 만한 사람이 아니에요.” 기반 시설이 부족한, 경제적으로 풍요롭지 않다고 평가되는 나라이기 때문에 당연히 한국에 오고 싶어 할 것이라는 가정의 폭력성을 아디나의 정면 반박 이전에 우리는 눈치채지 못한다.
강제 이주라는 역사의 피해자이자 종속적 산물로만 바라보는 시선에서 벗어나자, 고려인은 새로운 정체성이 된다. 그렇게 〈다우렌의 결혼〉은 이미 한국인보다 카자흐스탄 내 고려인으로 살아가길 택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내는 데 집중한다. 김치가 아닌 당근 김치, 잔치 국수와는 다른 국시, 멧돼지고기를 비롯한 낯선 결혼 음식은 한국의 것이라고 보기에도 카자흐스탄의 것이라고 보기에도 어렵다. 결혼 문화 또한 마찬가지다. 중앙아시아풍 복식에 러시아어를 쓰지만 한국의 잔치 문화와 비슷해 보이는 아디나, 그리고 다우렌의 결혼식은 고려인을 누군가의 유산으로 보는 것이 아닌 지금 당장의 현상으로 조명한다.
아디나가 카자흐스탄에 잔류한 것은 정말 선택이었을까. 개인의 선택 뒤 작동할지 모르는 상황적 조건과 선호조차 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점쳐내지 못했다는 지점에서 조금 아쉬움이 남지만 그럼에도 〈다우렌의 결혼〉은 고려인을 향한 기존의 한국 중심주의적 민족주의 기반 해석에서 벗어났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한국에서 먹는 당근 김치는 카자흐스탄의 당근 김치가 될 수 없기에, 고려인 또한 한국인의 복제품이 아니다.
'Community > 관객기자단 [인디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디즈 소소대담] 2024. 6 '썸머 필름을 타고!' (0) | 2024.07.03 |
---|---|
[인디즈] 〈생츄어리〉 인디토크 기록: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동물들, 그들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움직이는 사람들 (0) | 2024.07.03 |
[인디즈 Review] 〈아주 오래된 미래도시〉: 우리가 꿈꾸는 도시를 위하여 (0) | 2024.07.01 |
[인디즈 Review] 〈판문점〉: 불투명한 기억을 타고 흐르는 역사 (0) | 2024.07.01 |
[인디즈 단평] 〈다섯 번째 방〉: 사랑의 울타리에도 문은 필요해 (1) | 2024.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