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영화5

[청춘불패 靑春不敗] 공동체 상영을 신청하세요~ 서울에서만, 그것도 극장에서만 볼 수 있다고? NO!!! 우리에겐 지역의 미디어센터와 다양한 상영단체들이 있다! 독립영화 공공라이브러리”는 독립영화를 상영하고자 하는 단체 및 개인에게 저렴한 형태의 상영료로 작품을 제공하는 독립영화 ‘콘텐츠 지원체제’로써 한국독립영화협회가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 22개 개인 및 상영단체, 미디어센터들이 독립영화 공공라이브러리 회원으로 가입되어있으며, 각 단체들이 진행하는 상영회를 통해 과 를 관람하거나, 상영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독립영화 인디스페이스의 특별상영에 올 수 없는 관객이라면, 지역의 상영단체들이 주최하는 “청춘불패” 상영회 일정과 각 상영단체 연락처를 확인하세요 공공라이브러리에 가입된 단체들의 목록과 지역상영일정이 .. 2009. 8. 21.
[사토마코토회고전]특별할인이벤트_사토마코토 패키지로 영화를 관람하자! 안녕하세요. 인디스페이스입니다. 2009년 새해는 모두들 안녕하시지요? ^^ 인디스페이스의 2009년 첫 기획전 『사토 마코토 회고전』이 바로 코앞으로 다가왔네요. 『사토 마코토 회고전』에서는 총 6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됩니다. 이 모든 영화를 전부 관람하려 하는 관객들을 위한 특별이벤트를 마련하였습니다! 바로 4편을 볼 수 있는 가격 20,000원으로 여섯 편 전부를 관람할 수 있는 『사토 마코토 회고전』패키지 이벤트! 신청 및 관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토 마코토 회고전』패키지 신청 및 관람 방법 ① 2층 인디스페이스 사무실에서 패키지를 신청하고 관람료 2만원을 카드 혹은 현금으로 결제해주세요. ② 결제 후 인디스페이스에서는 『사토 마코토 회고전』을 모두 관람하실 수 있는 초대권 6장을 드립니다.. 2009. 1. 7.
[미운오리새끼] 감독과의 대화 9월 26일 의 오노 사야카 감독님과의 "관객과의 대화"입니다. 오노 사야카 감독은 한국에 첫 방문이시고, 한국의 음식, 사람들, 주변의 모든 것들에 대해 "스고이! 스고이!!"를 연발하며, 무한 애정을 표현해 주셨습니다. 삶과, 그리고 자신이 영화를 통해 어떻게 변화해갈 수 있는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감정의 울림"이 있는 영화를 계속적으로 만들고 싶다고 하셨답니다. 짧지만 감독의 생각을 조금은 더 들여다 볼 수 있는 관객과의 대화 내용입니다. 영화를 보셨던 분들도 이 글을 통해 다시 한번 를 떠올려 보실 수 있겠네요. 오노사야카 감독 GV 저는 지방에 살다가 도쿄 중심지의 도쿄영화학교에서 3년간 공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을 찍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제작 당시에는 이 영화를 찍거나 아니면 .. 2008. 10. 1.
[일본다큐멘터리 특별전] 감독과의 대화(GV)! 9월 23일(화) 16:30 | 상실의 파편+왜놈에게 상영 후 (누노카와 테츠로 감독) GV있습니다. 9월 26일(금) 12:40 | 미운오리새끼 (오노 사야카 감독) 감독과의 대화 있습니다. 14:40 | 반신반의 (다케후지 카요 감독) 감독과의 대화 있습니다. 9월 28일(일) 12:20 | 새로운 신 (츠치야 유타카 감독) 감독과의 대화 있습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왜놈에게, 미운오리새끼, 반신반의, 새로운 신 still 2008. 9. 19.
[일본다큐멘터리 특별전_섹션 소개] 삶과 예술, 사회를 바라보는 현재의 일본독립다큐멘터리! SECTION 1. 다큐멘터리, 그리고 삶 “다큐멘터리, 그리고 삶”에서는 가족과 나, 그리고 삶의 다양한 방식에 대한 다큐멘터리들을 모았다. 사적(私的) 다큐멘터리라고 부를 수도 있는 이 영화들은, 감독 자신의 삶, 혹은 주변의 삶을 카메라로 기록한다. 는 가족을 위해 스스로를 가장한 채 살아야 했던 감독 자신의 상처에서 출발해, 카메라를 통해 스스로를 치유하는 과정을 솔직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는 어머니의 죽음을 기록한 딸의 영화로 삶과 죽음이라는 관념적 사건을 삶의 지평에서 건져 올리며 여성적 글쓰기의 미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또한 은 당당한 비혼 여성으로 살아가는 감독이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르며 전통문화와 치르는 전투를 유쾌하게 그려낸 다큐멘터리이다. 은 한센병 환자들의 삶을 서정적으로 기록하는.. 2008.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