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 Review]〈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지켜보는 일에 대해서

by indiespace_한솔 2023. 1. 30.

지켜보는 일에 대해서

: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와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태현 님의 글입니다.

 

 

도토리 마을 방과후 교사들은 회의를 반복하며 아이들을 지켜보는 마음에 대해 고민한다. 논두렁은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라는 질문 혹은 다짐이 없다면, 자신은 그저 아이들에게 밥을 지어주고, 있는지 지켜보는 사람일 뿐이라고 말한다. 그의 말처럼 따져 묻는 일은 중요하다. 있는지 지켜보는 일은, ‘ 있는지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지극히 간단한 일이 되기도 하고, 지독히 어려운 일이 되기도 한다.

 

아이들은 도무지 하나로 뭉쳐지지 않는다. 언제나 풍경은 시끌벅적하고, 교사의 말은 무시되기 일쑤다. 당연하게도 아이들은 귀엽고 무해한 존재가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욕구에 따라 행동하는 일에 거침없다. 그들이 나쁘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영향받는 타인의 자리를 배워가는 과정에 있기 때문이다. 타인들과 함께한다는 것은, 오토마톤처럼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것과는 다르다. 교사들은 규칙이라는 표면적인 행동양식으로 아이들을 다스리려 하지 않는다.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 스틸컷

 

교사들은 아이들을 명의 동료 시민으로 대하기 위해 노력한다. 평어를 사용하고, 아이들이 스스로 이유를 찾아갈 있도록 질문한다. 찻길을 막고 우르르 걸어가는 아이들에게 쪽으로 걸어가야 하는지 질문한다거나, 고맙다는 말에 알맞은 대답을 찾을 있도록 여러 되묻는다. 찻길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은 교통법규를 따르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누군가와 나의 안전 때문이다. 고맙다는 말에 알맞은 대답을 찾는 일은, 예의범절의 문제가 아니라 고맙다는 말을 뱉기까지 고민한 당신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다. 공동체와 함께한다는 것은, 타인의 자리를 인지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켜본다는 것은 규칙을 벗어난 아이를 처벌하는 감시가 아니라, 매번 새롭게 벌어지는 상황에서 무엇이 있는 것인지 윤리적 판단을 요구하는 행위가 된다. 교사들은 지켜보는 위치의 책임을 잊지 않기 위해 순간 고민한다.

 

교사들은 다스리는 위치가 아닌, 지켜보는 위치에서 현장학습을 계획하고, 공동의 활동을 만든다.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자기 앞에 놓인 타인을 떠올릴 있도록 자리를 만든다. 함께 줄넘기에 참여하고, 우효의 '민들레' 부르고, 논두렁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감동적인 이유는 그것이 교사의 제안에 순응하게 성공적인 훈육의 증거이기 때문이 아니라, 교사가 제시한 공동의 언어를 통해 소통하고 있는 아이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마음이 아닌, 지켜보는 마음으로 아이들을 대해온 교사들의 고민이 보답받는 순간.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스틸컷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또한 자라나는 아이들과 교사 사이의 관계를 지켜본다. 과거 교사였던 연출자는 초등학교로 돌아가 자신이 맡았던 아이들의 마지막 1년을 카메라에 담는다. 이곳의 아이들 또한,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활동을 이어 나간다. 수업 시간에도 그렇다. 누구는 떠들고, 누구는 선생님의 뒷모습을 째려본다. 아이들은 작은 그룹을 만들어 따로 노는 같기도 하고, 그렇기에 자주 다툰다. 카메라 뒤에 서있는 연출자는 섣불리 행동의 이유를 묻지 않는다. 하지만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기록하는 행위 자체로 카메라는 아이들과 직접 관계 맺는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의 카메라는 CCTV처럼 공간을 자동 기록하는 척하지 않는다. 아이들이 보여주고 싶어 하지 않는 순간에는 자리를 피해준다. 무엇을 지켜볼 있을지 고민하는 일에서 비롯된 선택들을 통해 카메라는 아이들과 조금씩 가까워진다. 카메라라는 타인의 시선이 두렵기만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이들에게 천천히 인식시킨다. 언뜻 무용하게 보이는 아이들의 시간은 카메라의 존재를 통해 의미가 된다. 카메라는 머뭇거리며 다른 아이에게 연필을 빌리지 못하는 아이의 홀로 순간을 기록하고, 누군가 들어줬으면 좋겠지만, 아무도 듣지 않았으면 좋겠기도 속내를 털어놓을 있는 공간이 된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스틸컷

 

관계를 맺고, 그들이 이야기를 내어주기를 기다리면, 이제 물어볼 있다. 연출자는 그제야 인터뷰에 나선다. 교사와 아이들은 거리를 두고 있는지, 남자아이들과 여자아이들은 어떤 관계에 놓여있는지, 새로 전학온 아이는 학교를 어떻게 느끼는지 물어본다. 그리고 연출자는 이를 통해 알게 관계를 꾸며진 상황극 속에 펼쳐둔다, 명랑한 음악과 함께 쪼개어져 촬영된 극영화의 순간들이 등장한다. 아이들은 주어진 상황 속에서 좋아하는 사람이 있냐는 질문을 던지기도 하고, 교사와의 갈등 상황을 연기하기도 하고, 같은 아이들을 찾아 나서는 여정에 놓이기도 한다. 아이들이 어떤 마음으로 자기 자신을 연기했을지 없다. 영화가 되묻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심 그들이 자기 자신을 연기하며, 타인 속에 놓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자신의 존재는 타인에게 어떤 의미가 되는지, 카메라의 눈으로 다시 바라볼 있었으리라 기대할 뿐이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에서 가장 감동적이었던 장면은 창문 너머로 지나가는 노을이 아름답지 않냐는 연출자의 질문에, “재진이었다면 분명 사진을 찍었을 이라 말하는 아이의 모습이었다. 아이들을 기다리며 지켜보던 카메라를 연출자는 아이와 공동의 기억을 나눌 있게 된다. 그리고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에서 가장 뭉클했던 장면은 아이들의 자전거 타는 모습을 풀숲에 쪼그려 촬영하고 있는 연출자에게, “거기 있으면 벌레 물려라며 걱정을 건내는 아이의 모습이었다. 영화 속에서 카메라는 하나의 존재가 된다. 프레임 안에 담긴 사람들이 카메라를 의식하는 순간을 숨기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이 카메라를 의식하는 순간이 이야기가 된다. 아이들은 카메라 앞에서 자신을 바라보고 있는 타인의 자리를 배운다. 카메라를 사람은 마치 영화 교사들처럼, 어떻게 아이들을 지켜봐야 할지 고민한다. 편의 영화를 보며, 아이들에게 타인과 함께하는 일을 알려줄 있는 공간을 만드는 교사의 역할과 커다란 세계 속에서 카메라를 통해 무엇을 프레임 안에 담을 있을지 결정하는 영화 연출자의 역할이 어쩌면 닮아있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지켜보는 일의 윤리를 고민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그리고 그들의 지켜봄은 서로의 모습을 살피며 함께 살아가야 하는 우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