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_Choice] <뿔>: 우리 모두 조금씩은 괴물이다

by indiespace_은 2017. 5. 8.






[인디즈_Choice]에서는 이미 종영하거나 개봉으로 만나볼 수 없었던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이 코너에서 소개되는 작품들은 독립영화 전문 다운로드 사이트 '인디플러그'(www.indieplug.net)에서 

다운로드 및 관람이 가능합니다.


<뿔> 다운로드 바로가기 >> http://www.indieplug.net/movie/db_view.php?sq=3489






<뿔> 리뷰: 우리 모두 조금씩은 괴물이다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은정 님의 글입니다.




상한 영혼을 위하여


고정희


상한 갈대라도 하늘 아래선

한 계절 넉넉히 흔들리거니

뿌리 깊으면야

밑둥 잘리어도 새순은 돋거니

충분히 흔들리자 상한 영혼이여

충분히 흔들리며 고통에게로 가자






‘각수’는 항상 이마에 반창고를 붙이고 다닌다. “선생님 사람한테도 뿔이 날 수 있나요?” 각수는 거짓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서 뿔이 돋아난다고 굳게 믿고 있다. 그러나 선생님은 각수에게 의문스러운 말을 던진다. “이제 괜찮아질 때도 됐잖아” 어떤 일이라는 것이 괜찮아진다는 것이 가능할까. 우리가 마주하는 사건들은 어떤 인상을 남긴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잊혀지는 것은 기억일 뿐, 인상이나 흔적들은 흐려지지 않는다. 선생님이 기억의 조각이라고 착각하는 각수의 뿔은 그 사건이 무엇이 되었든 각수에게 짙은 흔적을 남긴 인상인 것이다. 그는 이 뿔로 인해, 과거의 어떠한 인상으로 인해 자신이 남들과 다를 뿐 아니라 괴물로 변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자신에게 다가오는 ‘혁태’에게도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한다. 혁태는 언제나 창 밖을 바라보며 홀로 있는 각수에게 관심을 가진다. ‘정빈’은 이러한 혁태의 모습이 못마땅한지 친구들과 함께 각수가 아끼는 염소의 뿔을 자른다. 이 장면은 이후 각수의 반창고를 떼는 혁태의 모습과 겹친다. 


<뿔> 초반부에 등장하는 고정희 시인의 시 ‘상한 영혼을 위하여’에서 ‘뿌리’를 ‘뿔이’라고 바꿔서 읽어보자. 이 구절은 염소의 뿔이 잘리는 상황을 설명한다. 물론 상황 자체는 아주 비극적이나 결국 새순은 돋아나고 말 것이다. 각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혁태가 각수의 반창고를 떼어내면서 굴욕적이고 비참한 순간을 맞았지만, 결국 각수에게는 뿔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이다. 어찌 보면 각수는 과거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마주 해야 하는 새로운 고통이 두려웠기 때문에 과거의 상처 속에 묻혀, 자기연민을 합리화하며 살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혁태라는 인물은 그가 다음 단계로 발을 내딛도록 도왔다. 각수에게 다가가고, 또 하고 싶지 않은 일이기는 했지만 각수의 반창고를 떼고. 혁태가 각수에게 그랬던 것처럼 정빈도 혁태에게 마찬가지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 장면에서의 뿔 잘린 염소는 혁태와 겹치는데, 역시 정빈은 염소의 뿔을 자르고 혁태를 불가피한 상황에 몰아넣는 등 고통을 주었지만, 결국 그것은 의도치 않게 혁태에게 전환점을 제공한다.





퀴어라는 영화의 장르를 고려하고 생각해봤을 때, 뿔은 퀴어라는 정체성에서 오는 이질감을 나타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각수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혁태를 계속해서 밀어내면서 자신이 괴물이 되어 혁태를 해치고 말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결국 영화에 끝자락, 혁태가 찾아왔을 때 그는 의미심장한 미소를 짓는다. 각수는 표면적으로는 혁태를 밀어내고 있지만, 결국 자신을 이해해줄 어떠한 존재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자신이 남들과 다르다는 생각 때문에 끊임없이 자신을 가두고 스스로를 무리에서 동떨어진 어딘가로 데려가기에 바빴다. 각수에게 계속 자신이 뿔을 가졌다고 이야기하는 이유는 자신은 결국 특별할 것 없는 사람 중 일부이지만, 다른 이들이 자신을 분류하는 것에 대한 이유를 제공하고 싶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다시 말하자면 뿔의 여부와 상관없이 사람들은 끊임없이 그의 성정체성으로 그를 사회와 동떨어진 존재로 분류하고자 했을 것이고 각수는 자신의 성정체성으로 인해 도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차별 받는 것이라는 변명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 대체물로 뿔을 고른 것이다. 다시 말해 뿔을 가진 각수는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하는 자기방어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어쩌면 각수에게 진짜 뿔이 자라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혁태의 이마에 변화가 생긴 것처럼. 그러나 결국 뿔이 사라졌다는 것은 그가 드디어 다름으로 배척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속으로 편입되었다는 것을 알리며 이제 스스로 존재에 대한 변명을 떨쳐낼 만큼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그를 다름이 아닌 사람으로 봐주는 혁태의 존재가 생겼기 때문이다. 반면 혁태에게는 흔적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과거 각수가 겪었던 변명의 시간으로 돌입했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영화는 인물들을 이용해 존재에 대한 자각부터 부정, 자기 존재에 대한 인정까지 개인이 겪는 심리적 상황들을 뿔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전달한다.





<뿔>은 끊임없이 다름에 대해 이야기한다. 무리 속에서 남들과 다르다는 것이 모두에게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지. 설사 아무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해도 그는 환영 받지 못한다. 다름은 누군가에 대한 도전이고 위협이기 때문일까. 우리는 익숙하지 못한 것들에 두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그 두려움의 표현은 단지 혼자 덜덜 떠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다수의 두려움은 그 존재에 대한 폭력으로 치환 된다. 끊임없이 억압하고 고통을 주려 애쓴다. 마침내 어떤 방식으로든 그 존재가 사라지게 되면 그들은 축제를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먹잇감을 찾아 서성거린다. 이 때 우리는 비로소 깨닫게 된다. 그들이 몰아내고 싶었던 것은 두려움이 아니라 삶에서 끊임없이 찾아오는 공허와 지루함, 그리고 그들이 원하는 것은 그저 열정을 쏟아내기 위한 희생자였다는 것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