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 재현과 해석 사이에서, 한국 애니메이션의 치열한 고민 <소나기> 인디토크 기록

by indiespace_은 2017. 9. 19.

재현과 해석 사이에서, 한국 애니메이션의 치열한 고민  <소나기>  인디토크 기록


일시 2017년 9 7일(목) 오후 8상영 후

참석 안재훈 감독

진행 모은영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








*관객기자단 [인디즈] 조휴연 님의 글입니다.




한국 근대 문학, 그 중에서도 단편 소설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읽은 것 같지만 읽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는’ 존재다. '소나기' 역시 그렇다. 소녀는 왜 시골로 오게 되었는지, 소녀의 죽음을 소년은 어떻게 전해 들었는지, 소년은 어떤 옷을 입고 다녔는지 정확히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영화 <소나기>는 그런 문학 작품을 다시 지금 우리의 앞에 생생한 모습으로 불러내려는 노력의 결실이다. 한편으로 <소나기>는 ‘한국 애니메이션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의 결실이기도 하다.






모은영 부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이하 모): 안녕하세요. 우선 감독님 인사 듣고 인디토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안재훈 감독(이하 안): 소설 ‘소나기’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볼 수 있었다는 게 행운이지만, 극장에서 보여드리기에는 조금 쑥스러운 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미 다들 잘 알고 계시는 작품이기 때문에요. 제가 자주 오는 영화관에 제가 만든 그림들을 보러 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모: 질문 전에 작품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소나기>는 한국 근대 문학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일련의 작업들 중 4번째 작품이고, 극장 개봉으로는 2번째 작품입니다. 읽었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많이들 읽지 않은, 그런 작품들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계신데요,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원동력 혹은 작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안: 누구나 자신의 경험이나 사랑하는 부분들을 영화로 만들고자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소설들을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줄 때 이뤄낼 수 있는 것들, 작품이 세상에 나왔을 때 문화적으로 발생할 일들 등을 기대하면서 나름 거창한 뜻을 가지고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모: 활자를 볼 때는 상상을 하게 되죠. 상상을 영상으로 옮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 제작진이 중요하게 생각한 장면과 관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장면이 다를 것 같아요. 그래서 ‘소나기’와 같은 유명한 작품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상영하는 일은 제작진과 관객 사이의 일종의 재미있는 싸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나기>의 경우 원작에 충실하려고 했습니다. 관객 분들이 영화를 보고 나가면서 ‘<소나기>는 안재훈과 스태프들이 만든 작품이다’라기보다 ‘황순원의 '소나기'를 잘 재현했다’고 느끼길 원했습니다. 



관객: 작품 만들면서 어떤 부분에 주안점을 뒀는지 궁금합니다.



안: 소년과 소녀의 얼굴이 가장 큰 고민이었습니다. 예쁘고 잘생기게 그려야 할지, 못생기게 그려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처음 콘티를 보고 아쉽긴 했습니다. ‘소녀는 조금 더 예뻐도 될 것 같은데’ 생각이 들어서요. 하지만 작업을 진행하면서 작품 속의 소녀를 ‘잘생긴 여자아이’ 이미지로 생각한 적이 있다는 걸 떠올리게 됐어요. 잘 나온 것 같습니다. 다음은 복장입니다. 원작에는 주인공의 복장에 대한 묘사가 나와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고민이 있었습니다. 소녀의 경우 원작에는 단발머리, 분홍 스웨터, 남색 스커트, 신발, 이정도만 표현이 되어 있고 소년의 경우엔 바지만 언급이 되어 있었기 때문이죠. ‘소나기’는 1953년 작품인데 당시엔 군복을 줄이고 늘여 입거나 한복을 입었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의 복장을 어떤 식으로 표현해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또 냇가와 산이라는 한정된 공간은 애니메이션의 경우 만들기가 힘듭니다. 특히 들판은 레이아웃이나 구도를 잡기가 힘들었습니다. 심도 표현도 그렇고요. 막바지에 배경을 담당하는 스태프가 발군의 재능을 발휘해서 멋진 그림을 만들어 냈습니다.  





관객: 그림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안: 저는 나이가 조금 있는데요, 우리 나이 대에는 거창한 꿈을 꾸면서 그림을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그림을 그리다 애니메이션을 하게 됐어요. 특별한 재능이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금방 그만두기도 하는데, 제 경우엔 특별한 재능은 없어서 근근이 하다 보니 여기까지 오게 됐습니다. 



모: 앞으로도 꾸준히 그림 그려서 저희에게 좋은 작품 보여주시길 바랍니다. <운수 좋은 날>의 경우 ‘경성’이라는 확실한 배경이 있었는데 <소나기>는 배경 묘사에 있어서 키 이미지라고 할 만한 게 어떤 것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 애니메이션 배경을 이야기 할 때 흔히 수채화 같은 느낌, 적당한 단어가 없어서 많이들 이렇게 표현을 하는데, 우리도 막연히 수채화 같았으면 좋겠다,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7-80년대 옛날 한국 영화들을 참고하면서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소나기>에선 풀과 들녘이 등장하는 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초반에 섬세한 붓터치를 중심으로 배경을 잡아갔습니다. 특히 저는 비오는 장면에 애착이 있어요. 



관객: 원작에 중점을 두었는지, 원작을 베이스로 새로운 작품을 만들고 싶었던 건지 듣고 싶습니다.



안: <소나기>의 경우 일부는 재현, 일부는 해석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재현과 해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영화 내내 끌고 가려 하지는 않았습니다.



모: 차기작은 어떤 작품일지 궁금합니다.



안: 한국 단편 문학 작품은 두세 개를 묶어서 개봉할 계획이었습니다. <소나기>와 <무녀도>를 한 세트로 작업했는데 사정상 갈라서 개봉하게 됐습니다. 12월에 <무녀도>가 개봉하게 될 것 같습니다. 



모: 소나기가 짧게 내리지만 온몸을 적시는 것처럼 이번 작품은 짧지만 우리 마음에 먹먹하게 여운을 남기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작도 한 번 더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안: 근대 문학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가는 데 있어서 이 작업을 왜, 어떻게 해갈지 고민과 회의감이 있었는데 오늘 오신 분들을 뵙고 이야기 나누니 정리가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